|
|
|
Home > 본부소개 > 설립배경과 연혁
|
|
 |
1947년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된 우리나라 4-H운동은 6·25전쟁 이후 농촌 진흥과 청소년 육성의 필요성이 요구됨에 따라 1952년 정부시책사업으로 채택되었고, 1954년 11월 민간차원에서 한국4-H본부 전신인 한국4-H구락부 중앙위원회(현 한국4-H본부)를 발족하게 되었으며, 그 해 제1회 4-H중앙경진대회를 개최하였습니다.
|
|
1963년부터 4-H국제교환훈련(IFYE)사업을 시작하였고, 한국4-H신문을 창간하였으며, 1974년에는 한국4-H연맹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.
|
|
1979년에는 한국새마을청소년후원회로 개칭하였고, 제1회 전국4-H야영대회를 개최하였으며, 1987년에는 한국4-H운동40년사를 발간했습니다. 1988년에는 한국4-H후원회로 다시 명칭을 변경하였고, 90년에는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 2000여 평 규모의 한국4-H회관을 건립하였습니다.
|
|
1992년부터 4-H회원 문화탐방활동을 시작하였고, 1997년에는 4-H운동50주년을 맞아 수원 농촌진흥청 구내에 기념상을 건립했습니다.1998년부터 4-H지도교사 연찬교육을 실시하였고, 2000년부터는 한국4-H대상을 시상하기 시작했습니다.
|
|
2001년에는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모든 4-H인들이 힘을 합쳐 4-H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한국4-H본부로 명칭을 변경했으며, 2004년에는 창립50주년 기념식을 개최하였고, 2005년 4-H관련단체(한국4-H연맹, 한국클로바동지회)와 통합하는 등 4-H운동의 민간추진역량을 크게 강화했습니다.
|
|
2007년에는 새로운 시대변화에 적합한 4-H운동을 추진하기 위해 ‘한국4에이치활동 지원법’(법률 제8758호)이 제정되었고, 2008년 법에 따라 4-H활동 주관단체로 지정되어 한국4-H발전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
|
|
|
|
 |
|
|
|
|
1954 |
|
한국4-H구락부중앙위원회(현 한국4-H본부) 창립 |
제1회 4-H중앙경진대회 개최 |
|
|
1963 |
|
4-H국제교환훈련(IFYE) 실시 |
한국4-H신문 창간 |
|
1971 |
|
제9차 아시아4-H지도자세미나 개최(11개국 참가) |
|
1972 |
|
‘4-H구락부’를 ‘새마을4-H구락부’로 개칭 |
|
1976 |
|
4-H운동30주년기념 발전연찬회 개최 |
|
|
1979 |
|
‘새마을4-H구락부’를 ‘새마을청소년회’로 개칭 |
|
1981 |
|
새마을청소년회중앙연합회(현 한국4-H중앙연합회) 결성 |
|
|
1988 |
|
‘새마을청소년회’를 ‘4-H회’로 개칭 |
|
1990 |
|
한국4-H회관 건립 |
제2차 아·태지구IFYE대회 개최 |
|
1997 |
|
4-H운동 50주년 기념 제37회 중앙경진대회 개최 및 50주년 기념상 건립 |
|
1998 |
|
학교4-H지도교사 연찬교육 시작 |
한국4-H지도교사협의회 창립 |
|
|
2001 |
|
‘한국4-H후원회’를 ‘한국4-H본부’로 개칭 |
회원연령을 13~29세에서 9~29세로 조정 |
|
2004 |
|
농어촌청소년백서 발간 |
한국4-H본부 창립 50주년 기념식 개최 |
|
2005 |
|
4-H관련단체(한국4-H연맹, 한국클로바동지회)를 한국4-H본부와 통합 |
|
2007 |
|
한국4-H운동 60주년 제42회 중앙경진대회 및 한마음대회개최 |
‘한국4-H활동 지원법’(법률 제8758호) 제정 |
|
2008 |
|
한국4-H본부를 4-H활동 주관단체로 지정 |
|
|
|
|
|
|
|
|
|